📌JPA(Java Persistence API)란?JPA는 자바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기술에 대한 API 표준 명세(즉,인터페이스)**를 뜻한다.위에서 말하는 ORM (Object Relationship Mapping) 기술이란?ORM 기술은 말 그대로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매핑해 주는 기술이다.객체는 객체대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대로 설계하고, ORM 프레임워크가 중간에서 매핑을 해준다.다시 정리하면, JPA는 라이브러리가 아닌 ORM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모음이다.이러한 JPA는 인터페이스의 모음, 단순한 명세이기 때문에 구현이 없다.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사용할지 정의하는 하나의 방법일 뿐이다..
JAP에서의 연관관계& ERD의 연관관계(단방향)@OneToOne@OneToMany@ManyToOne@ManyToManyJAP는 방향 설정이 필요단방향 참조 : 한쪽의 클래스만이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 참조양방향 참조 : 양쪽 클래스 모두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 참조@Table(name = "t_member")@Entity@Builder@AllArgsConstructor@NoArgsConstructor@Datapublic class MemberEntity { @Id //Primary Key String mid; String mpassword; String mname; @Enumerated(EnumType.STRING) //기본은 순서 ordinal이 입력됨. Enum 문자타입 MemberRole mro..

[Spring Framework] 10강 - RESTful APIREST API 개념과 예제HTTP 프로토콜에 정의된 4개의 메서드들이 자원(Resource)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정의한다.페이지에 요청을 보낼 때, HTTP URI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를 통해 특정 명령을 내리는 방식을 RESTful이라고 합니다.위의 표는 각 Method의 역할이 명시되어 있습니다.일반적으로 4가지 Method가 각 CRUD에 매핑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이렇게 구현하면 우리는 "RESTful하게 만들었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REST 개요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각 자원(Resouce)에 대하여 자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나중에 참고하기 위해 기록을 해본다. 프로젝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한 군데에서 구하지 못하고 여기저기 긁어 모아야했다.처음에 모든 데이터가 담긴 엑셀 파일을 DB에 저장하려고 했다가 방법이 바뀌게 됐다. 엑셀 파일을 읽는 것 까지 성공했고 DB에 insert하는 것은 해보지 못하고 다른 방식으로 저장하게 되어서 다음에 이 방법을 시도해보고 싶다. import java.io.IOException;import java.io.InputStream;import java.util.ArrayList;import java.util.List;import org.apache.poi.ss.usermodel.Cell;import org.apache.poi.ss.usermodel.DateUtil;import org..

카카오맵api를 사용해서 가맹점 정보 json데이터를 받아오려고 했는데 간단해 보였지만 꽤 많은 시련이 있었다.. ( 하루 걸림 ) sts4 자바 컨트롤러로 api를 호출하다 마주친 오류들과 해결법을 정리해봅시다. 1. 마주친 오류메세지rest api키도 제대로 넣고 컨트롤러 매핑 경로도 그대로 작성했는데 계속 파라미터를 못찾았다. [java.lang.String] not specified, and parameter name information not available via reflection. Ensure that the compiler uses the '-parameters' flag.] 일단 나는 다른 패키지에 @RequestMapping주소가 같은 클래스가 있어서 문제였다. 2. 0건 조회일..
useNavigate사용방법import { useNavigate } from 'react-router-dom';react-router-dom으로부터 useNavigate를 import 해온다.const navigate = useNavigate();useNavigate를 호출하면 양식이 제출된 후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탐색할 수 있는 함수를 반환한다고 공식문서에 나와있는데 이것을 변수에 담는다.useNavigate 훅을 실행하면 페이지 이동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를 반환한다.반환하는 함수를 navigate라는 변수에 저장 후 navigate의 인자로 설정한 path값을 넘겨주면 해당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조건이 필요한 곳에서 navigate 함수를 호출해서 경로를 이동할 수 있다.ex) 로그인 페이지에..
컴포넌트 확장자리액트에서 컴포넌트를 만들 때 어떤건 확장자가 .jsx이고 어떤건 .js일 때도 있었다. 무엇을 쓰는게 더 나은지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자.JSX란?우선 JSX는 JavaScript XML의 약자로 JavaScript를 확장한 문법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 공식 문서에서 설명하기로는 UI 관련 작업을 위해 권장이 되며 React에서 에러, 경고 메세지를 표시해준다고 한다.JSX 코드// JSXrender() { return ( Click here )}위의 JSX 코드는 자바스크립트 컴파일러인 @babel을 통해 javascript로 변환된다.JS 코드// JSReact.createElement( "button", {cl..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그래머스
- splice
- await
- 챌린지1일차
- useEffect
- 오블완
- NPM
- props
- 티스토리챌린지
- 리액트네이티브
- 노마드
- ReactJS
- overloading
- 카카오로그인
- nomard
- 리액트
- 오버로딩
- React
- ts
- useState
- CLI
- slice
- 프로젝트회고록
- 자바스크립트
- Async
- 타입스크립트
- Cleanup
- TypeScript
- create react app
- 재귀함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