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Function
1. Function() 의 괄호 안의 매개변수에서 아규먼트를 받아들일 수 있다.
ex)
function sayHello(nameOfPerson) {
console.log(nameOfPerson);
}
sayHello("nico")
sayHello("dal")
sayHello("lynn")
2. 아규먼트는 여러개를 받을 수 있음.
ex)
function sayHello(nameOfPerson , age) {
console.log(nameOfPerson);
}
sayHello("nico" , 12);
sayHello("dal" , 20);
sayHello("lynn" , 23);
3. function의 값은 function '안'에서만 존재한다.
--> 오브젝트 안에서 매개변수가 아규먼트를 받는 방식
ex)
const player = {
name : function(Name) {
console.log("Your Name is " + Name + " 입니다.")
} ,
sayHello : function(Age) {
console.log("Your age is " + Age + " 입니다." )
}
}
player.sayHello(14)
player.name("james")
function이 data 받는 방법
1.아규먼트 순서가 중요하다.
function plus( a, b ){
console.log( a+b );
}
plus(5, 10); ----> 5 =a, 10=b 순서대로 받아들임.
2. 괄호안의 매개변수는 function의 body에서만 사용가능하다.
function minusFive(potato){
console.log(potato - 5);
}
console.log(potato); ---> not defined
r e t u r n
쉽게 이해시켜준 댓글을 가져왔다.
-->return값이 왜 필요하지? 왜 retrun을 써야하는지 잘 모르고 썼는데 이제 조금 이해가 가기 시작한다.
1. console.log는 그림의 떡. 꺼내 먹으려면 return필요...
2. return은 카페나 식당의 테이크아웃 개념인 거 같음
함수에서 만들어서 내보낸 결과값을 함수 밖으로 들고 나가서, 다른데서 그대로 출력하건 다른 거랑 섞어서 비벼먹건 볶아먹건 사용할 수 있게 해줌 (니콜라스가 펄펙 설명이라 했음)
3.리턴을 안하면 믹서기 안에 있는 망고주스를 보고만 있고 마실 수 없다는 예시가 진짜 찰떡표현이다..
ex)
const age = 96;
function calculatorKrAge(ageOfForeigner){
ageOfForeigner + 2; //retun이 없으면 undefinded
return ageOfForeigner + 2; //98이 리턴
}
const krAge = calculatorKrAge(age); //98
//age를 calculatorKrAge(아규먼트)로 받아와 96+2가 반환(return)됨.
console.log(krAge); //98
return을 쓸 때의 주의사항
한번 return을 하면 해당 함수는 끝난다! --> return 하는 순간, function 종료됨!
그렇기 때문에 return뒤에 작업을 한다면 출력되지 않는다!
const calculator = {
plus : function(a,b){
console.log("hello"); //출력 O
return a+b;
console.log("byebye"); //출력 X
}
const plusResult = calculator.plus(2, 3); // 5가 리턴됨.
Conditionals 조건문
type변경하는 방법
typeof
parseInt
무언가가 NaN인지 판별하는 방법
- isNaN() --> 첫번째 아규먼트(argument)는 number여야 함.
- isNaN( age ) --> age가 NaN인지 아닌지에 따라 true와 false를 리턴함.
* NaN == Not a Number
EX)
const age = parseInt(prompt("몇살이니?"));
if( isNaN( age ){ //true - age가 NaN일 경우
console.log("숫자를 입력하세요");
} else{
console.log("Tank you");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마드 바닐라JS 챌린지] Day.8~9 LOGIN (0) | 2023.05.23 |
---|---|
[노마드 바닐라JS 챌린지] Day.5 (0) | 2023.05.19 |
[노마드 바닐라JS 챌린지] Day.4 (0) | 2023.05.18 |
[노마드 바닐라JS 챌린지] Day.2 - Booleans , Arrays , Objects (0) | 2023.05.16 |
[Javascript] value 값을 가진 option 태그를 선택했을 때, 해당 값을 input의 value에 나타내기 (0) | 2023.05.05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프로젝트회고록
- 오블완
- useEffect
- 프로그래머스
- nomard
- ts
- 재귀함수
- splice
- 자바스크립트
- await
- 노마드
- 오버로딩
- props
- Cleanup
- 티스토리챌린지
- TypeScript
- create react app
- useState
- overloading
- 챌린지1일차
- Async
- CLI
- slice
- ReactJS
- React
- 카카오로그인
- NPM
- 리액트
- 리액트네이티브
- 타입스크립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