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748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arraycommandsreturn
[1, 5, 2, 6, 3, 7, 4] | [[2, 5, 3], [4, 4, 1], [1, 7, 3]] | [5, 6, 3] |
입출력 예 설명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처음에는 Java로 풀다가 막혀버렸다.. 그래서 자바스크립트로 먼저 풀어봤다.
📌나의 풀이
1. 첫번째 시도
function solution(array, commands) {
var answer = [];
var a = [[],[],[]]; //임시 저장용 초기 2차원 배열
for(let i=0; i<commands.length; i++){
let start = commands[i][0];
let end = commands[i][1]
let k = commands[i][2];
//2차원 배열에 값 넣기
a = array.slice(start, end-1); //2차원 첫밴째 배열에 들어감
answer.push(a);
a.sort(); //2,3,5,6,7
answer[0] = a[k-1]; //k가 3이면 배열 2번째 인덱스 찾기
}
return answer;
}
=> 마지막 배열이 정렬되지 않는 오류 발생.
Why? sort() 동작방식이 다름. sort()만 하면 안됐고, sort((a, b) => a - b
- sort(): 요소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정렬 (문자열 기반 유니코드 순서).
- sort((a, b) => a - b): 숫자 또는 다른 데이터 타입에 대해 비교 함수를 명시하여 원하는 대로 정렬.(숫자 정렬)
또, answer[0] = a[k-1];로 첫번째만 정렬시켜서 다른 배열은 정렬이 안됐었다.
방법 -1 임시 배열에 저장해서 넣기
function solution(array, commands) {
var answer = [];
for(let i=0; i<commands.length; i++){
const a = []; //임시 저장할 배열
let start = commands[i][0];
let end = commands[i][1];
let k = commands[i][2];
// array의 start-1부터 end까지 자른 배열을 a에 저장
a.push(...array.slice(start-1, end));
//오른차순 정렬
a.sort((a,b)=>a-b);
//정렬된 a에서 k번째 값을 answer에 추가
answer.push(a[k-1]);
}
return answer;
}
방법-2 임시 배열 변수 선언 없이
function solution(array, commands) {
var answer = [];
for(let i=0; i<commands.length; i++){
let start = commands[i][0];
let end = commands[i][1];
let k = commands[i][2];
let newArr = array.slice(start-1, end);
newArr.sort((a,b) => a - b);
answer.push(newArr[k-1]);
}
return answer;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JS] Lv.0 구슬을 나누는 경우의 수 (0) | 2024.10.17 |
---|---|
[프로그래머스|JS] Lv.0 짝수 홀수 개수 (0) | 2024.10.16 |
[프로그래머스|Java] Lv.0 배열만들기1 (0) | 2024.10.14 |
[프로그래머스/JS] Lv.0 배열의 평균값 (0) | 2024.09.25 |
[프로그래머스/JS] 분수의 덧셈 (0) | 2024.09.24 |
- Total
- Today
- Yesterday
- Async
- slice
- 프로젝트회고록
- create react app
- NPM
- 리액트네이티브
- splice
- 타입스크립트
- 오블완
- Cleanup
- ReactJS
- overloading
- 오버로딩
- 노마드
- useState
- 챌린지1일차
- React
- 카카오로그인
- await
- CLI
- nomard
- 티스토리챌린지
- props
- 프로그래머스
- 재귀함수
- 자바스크립트
- useEffect
- 리액트
- ts
- TypeScrip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