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타입 안정성은 타입스크립트가 제공하는 가장 큰 장점이다.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되는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로 변환되기전에 타입을 체크하기 때문에 에러가 있으면 그 코드는 자바스크립트로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가 실수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TS와 다른 자바스크립트 성격
자바스크립트는 타입 안정성이 없는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는 이상한 코드를 작성해도 에러가 없음! 개발자에 대한 이해심이 많은 언어이다.
[1,2,3,] + false
=> '1,2,3false'
function divide(a, b) {
return a / b
}
=> undefined
divide("xxxxx")
=> NaN
위 코드의 divide 함수는 두개의 아규먼트가 필요한데, 한개만 입력해도 NaN이 리턴되는 걸 볼 수 있음.
자바스크립트는 실행을 막지 않는다. 또한 에러가 표시되지도 않는다.
const nico = { name:"nice" }
=> undefined
nico.hell()
=> Uncaught TypeError : ....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에러를 보여준다. (유저가 코드를 실행했을 때 에러를 보여줌)
📍타입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되는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로 변환되기전에 타입을 체크하기 때문에 에러가 있으면 그 코드는 자바스크립트로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가 실수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이해를 도와준 강의 댓글 :
자바스크립트는 싫은 말 못하는 친구라면, 자바나 C#, 타입스크립트 등의 언어들은 할 말은 하는 타입의 친구!
📍타입스크립트 변수 선언
일반적으로 타입스크립트는 변수명 뒤에 콜론(:)을 붙여 타입을 써준다.
💡명시적 타입 선언
const (ValueName) : (Type) = (Value)
💡암묵적 타입 선언
암묵적으로 변수를 선언하더라도 TS는 타입 추론을 해준다.
const (ValueName) = (Value)
'Type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 Overloading(오버로딩)이 발생하는 경우 (0) | 2024.09.25 |
---|---|
[TS]Call Signatures 콜 시그니처란? (0) | 2024.09.25 |
[TS] readonly, Tuple, any와 unknown, void, never 속성 정리 (0) | 2024.09.24 |
[TS]타입스크립트 명시적 타입 선언 방법 (0) | 2024.09.23 |
[챌린지] 타입스크립트 챌린지 준비 (0) | 2024.09.20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노마드
- await
- 카카오로그인
- useState
- 오블완
- ReactJS
- CLI
- Async
- 티스토리챌린지
- ts
- 챌린지1일차
- nomard
- 자바스크립트
- 프로그래머스
- splice
- 재귀함수
- 타입스크립트
- overloading
- NPM
- React
- useEffect
- slice
- TypeScript
- Cleanup
- 프로젝트회고록
- props
- 오버로딩
- 리액트네이티브
- create react app
- 리액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