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ypeScript

[TS] 타입스크립트란?

JxxxxH 2024. 9. 23. 12:22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타입 안정성은 타입스크립트가 제공하는 가장 큰 장점이다.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되는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로 변환되기전에 타입을 체크하기 때문에 에러가 있으면 그 코드는 자바스크립트로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가 실수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TS와 다른 자바스크립트 성격 

자바스크립트는 타입 안정성이 없는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는 이상한 코드를 작성해도 에러가 없음! 개발자에 대한 이해심이 많은 언어이다.

[1,2,3,] + false
=> '1,2,3false'
function divide(a, b) {
	return a / b
}
=> undefined

divide("xxxxx")
=> NaN

 

위 코드의 divide 함수는 두개의 아규먼트가 필요한데, 한개만 입력해도 NaN이 리턴되는 걸 볼 수 있음.

자바스크립트는 실행을 막지 않는다. 또한 에러가 표시되지도 않는다.

 

const nico = { name:"nice" }
=> undefined

nico.hell()
=> Uncaught TypeError : ....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에러를 보여준다. (유저가 코드를 실행했을 때 에러를 보여줌)

 

 

📍타입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되는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로 변환되기전에 타입을 체크하기 때문에 에러가 있으면 그 코드는 자바스크립트로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가 실수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이해를 도와준 강의 댓글 :

자바스크립트는 싫은 말 못하는 친구라면, 자바나 C#, 타입스크립트 등의 언어들은 할 말은 하는 타입의 친구!

 

📍타입스크립트 변수 선언

일반적으로 타입스크립트는 변수명 뒤에 콜론(:)을 붙여 타입을 써준다.

💡명시적 타입 선언
const (ValueName) : (Type) = (Value)

 

💡암묵적 타입 선언
암묵적으로 변수를 선언하더라도 TS는 타입 추론을 해준다.
const (ValueName) = (Value)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