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프로젝트를 끝내면 회고록을 작성하는 것이 지난 행동을 돌아보면서 개선할 점을 찾고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개선점을 보완해서 더 완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회고록을 잘 작성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앞으로 있을 프로젝트 회고록을 작성하기 위해 어떻게 써야 하는지 작성 방법을 찾아보았다.
개인회고를 위한 Keep/ Problem/ Try]
- Keep: 프로젝트 완료 후에도 간직하고 싶은 잘했던 것 / 좋았던 것
*ex) "~기술 적용을 했더니 효율적으로 ~를 할 수 있었다." - Problem: 프로젝트 중 겪었던 어려움(기술, 소통, 협업, 에러 등 프로젝트 진행 관련된 그 어느것이든) / 프로젝트 완료 후에도 아쉬움으로 남는 것
*ex) "~기능 적용 중 ~이슈가 발생하였다." - Try: Problem 중 해결된 사항에 대한 해결 방법 / 해결되지 않은 사항에 대한 피드백
*ex) "~기능 적용 중 발생한 ~이슈 해결을 위해 ~를 하였다."
개인 프로젝트 회고 목차 구성
1. 프로젝트 설명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는지 프로젝트의 목적, 구현하고자 했던 기능, 기술 스택 등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을 먼저 하자.
2. KPT 작성
Keep / Problem / Try 를 작성한다.
(작성 중 기술적인 설명이 필요한 경우 새로운 게시물을 작성한 뒤 링크로 연결해주자)
3. 느낀점
감정적이든 기술적이든 그 어떤 부분이든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느낀점이 있다면 무엇이든지 자유롭게 적는다.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te + React + TypeScript 절대 경로 설정하기 (2) | 2025.06.02 |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await
- useState
- Cleanup
- create react app
- 프로젝트회고록
- React
- slice
- 자바스크립트
- Async
- 재귀함수
- 카카오로그인
- nomard
- 챌린지1일차
- 리액트네이티브
- 오블완
- props
- ReactJS
- CLI
- useEffect
- 프로그래머스
- 리액트
- splice
- 오버로딩
- 노마드
- ts
- 티스토리챌린지
- 타입스크립트
- TypeScript
- NPM
- overload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